외국의 왕정에 대한 단상.

영국을 위시한 북유럽 등의 여러 유럽국가들이 여전히 왕정을 유지하고 있다.
상징적이긴 하지만 그 오랜동안 왕정이 유지된 이유를 생각해보았다.
만만치 않은 역사를 지닌 프랑스와 러시아가 왕정을 포기한 것은 왜일까?
...
프랑스와 러시아 양국은 공통적으로 혁명을 겪었다.
시기적으로는 다르지만 혁명에 의해 왕정이 무너지는 것은 동일했다.
그리고 여러 정치체제의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그런데 영국 등의 왕제를 유지하는 국가들은 어떻게 지금까지 왕제가 가능했을까?

북유럽국가들의 경우는 재빨리 사회주의경제를 도입하였다.
영국은 산업혁명기를 거치면서 필요에 의해서였지만 사회복지 분야가 같이 발전했다.
극히 현대적인 사회복지의 역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복지법률과 시스템은 영국에서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왕정체제와 사회주의경제, 혹은 강력한 사회복지시스템이 절묘하게 악수하면서
서로 공존이 가능하게 된것이 영국을 위시한 유럽의 왕제유지국가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 공존의 타이밍을 놓친 프랑스와 러시아는 결국 왕정체제의 몰락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는 이후 모든 국가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공식이 아닌가 싶다.

빈곤의 그늘이 깊어지면,
그리고 그 그늘의 그림자가 확대되면,
필연적으로 사회는 계층적 균열이 일어나게 되고, 급기야는 통제불능의 계급투쟁공간이 된다.
물론 막대한 희생도 동반되고....

우리는 역사에서 배운다.
국가와 사회의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해 꾸준히 사회복지영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을!!
그런데..우리는 과연?
Posted by 탐라공화국